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Current Issu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No. 1, pp. 17-29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4
Received 26 Jan 2024 Revised 06 Mar 2024 Accepted 18 Mar 2024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4.3.48.1.17

노년기의 여가목적, 여가만족 및 행복: ‘시간보내기’ 여가목적을 중심으로 한 예측요인 탐색
임영신1 ; 김매이2
1고려대학교 박사수료
2고려대학교 교수

Leisure purpose,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later life: Exploring predictors focusing on ‘passing the time’ leisure purpose
Lim, Youngshin1 ; Kim, May2
1Korea University
2Korea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May E-mail: kimmay@korea.ac.kr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older adults based on the purposes of their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o explore predictive factors for these leisure purpose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data from 2,054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were selected from 2022 Korean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data for further analyses. Respondents’ leisure activity purposes were categorized into ‘pleasure/satisfaction,’ ‘health/rest,’ and ‘passing time.’ One-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leisure activities. Furthermo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age,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size, subjective health, weekday leisure time, time constraints on leisure, economic constraints on leisure, adequacy of use of leisure facilities, adequacy of leisure facility programs, participation in repetitive leisure activities, leisure consciousness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leisure purposes. This study provides additional insights into leisure in later life by elucidating the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ased on purposes of leisure among older adults and by identifying predictive factors for these purposes.


Keywords: leisure purpose, leisure motivation, older adults, leisure satisfaction, happiness
키워드: 여가목적, 여가동기, 노인여가, 여가만족, 행복

References
1. 강순화, 김분실, 최원석(2020). 노인의 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가?. 생명연구, 55, 127-147.
2. 국토연구원(2021). 지역밀착형 생활SOC 정책을 위한 복합결핍지수 개발 및 활용 방안.
3. 권기창, 권승숙(2020).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특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한국공공관리학보, 34(4), 255-277.
4. 김덕주(2020). 노년층의 여가활동 참여실태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12(2), 37-48.
5. 김명숙, 고종욱(2013).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매개역할. 노인복지연구, 60, 35-54.
6. 김민선(2022). 노인의 여가 활동과 우울의 종단적 영향 관계 분석. 한국노년학연구, 31(3), 185-201.
7. 김민혜, 김주현(2020). 한국 고령자의 여가 활동 트렌드: 국민여가활동조사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0(5), 871-894.
8. 김보람, 김매이(2021). 여가활동 참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 결정요인. 여가학연구, 19(3), 71-91.
9. 김수아, 김남조(2020). 베이비붐 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여가환경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비교-여가공유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32(3), 121-143.
10. 김수영(2021). 생태체계학적 관점에 기반한 노인의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9(2), 1-29.
11. 김수지(2020). 노인차별 경험이 노인의 여가 시간 사용과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대도시 노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40(4), 211-244.
12. 김의재, 강현욱. (2021). 고용형태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실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3, 159-169.
13. 나라살림연구소(2021.8.30.). 노인복지관 미설치 지자체 전국 38곳...경남 11곳, 강원 8곳, http://www.firiall.net/report/224
14. 문화체육관광부(2022). 2022 국민여가활동조사.
15. 민경선(2020). 노인의 여가생활 특성과 여가자원이 여가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45-57.
16. 손지영, 전선영(2016).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복지감.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3), 1-18.
17. 오서진(2022). 베이비부머의 여가동기, 여가만족도, 행동의도에 관한 영향관계 – 사회적 배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년교육연구, 8(1), 111-139.
18. 원형중(1998). 성인근로자의 여가활동 참여동기와 제약요인에 관한 기본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7(2), 369-386.
19. 유용식(2022). 노인의 여가활동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2), 217-225.
20. 윤소영(2016). 고령자 대상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4), 1-13.
21. 이유리, 박미석(2006).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가제약, 여가동기, 여가참여의 관계. 가정과 삶의질연구, 24(1), 11-30.
22. 이종경, 이은주(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 감소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17-26.
23. 이지혜(2020). 뉴실버세대의 파크골프 참여동기가 여가만족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골프연구, 14(1), 213-223.
24. 이훈, 황희정(2008). 노인의 여가경험 분석. 관광학연구, 32(6), 317-388.
25. 임재구, 신정택(2006). 노인의 여가참여 동기와 생활만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3), 39-48.
26. 임재구, 이재구(2011). 여가스포츠 참여노인의 여가 인식 및 여가유능감이 여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6), 239-249.
27. 조명희, 허준수(2020). 규칙적인 여가활동이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4),77-91.
28. 조원득, 안명식(2015). 여가스포츠 참여노인들의 여가경험이 여가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3), 25-36.
29. 최봄이, 박하영, 주수산나, 임윤묵, 김대은, 김창오, 김광준, 이창민, 김윤명(2022). 노인의 운동참여 동기 유형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42(3), 713-729.
30. 통계청(2023). 고령자통계.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32.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2022). 2022 자살예방백서.
33. 한진오, 정득, 이종석(2019).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 만족의 매개효과. 여가학연구, 17(2), 61-85.
34. 현진희, 김희국(2011). 노인의 여가활동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2), 351-359.
35. 홍서연, 김미량(2017). 여성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여가동기와 여가제약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15-26.
36. 홍석호(2020). 경제적 부담과 건강 문제를 겪는 노인들의 여가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40(1), 197-216.
37. 황남희(2014).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4(2), 37-69.
38. 황혜선, 이윤석(2021). 노인 1 인가구의 여가활동 유형 및 여가동반자 유형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의 탐색. 보건사회연구, 41(4), 88-107.
39. Adams, K. B., Leibbrandt, S., & Moon, H. (2011).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ocial and leisure activity and wellbeing in later life. Ageing & Society, 31(4), 683-712.
40. Ahn, Y. J., & Janke, M. C. (2011). Motivations and benefits of the travel experiences of older adults. Educational Gerontology, 37(8), 653-673.
41. Beggs, B., Kleparski, T., Elkins, D., & Hurd, A. (2014). Leisure motivation of older adults in relation to other adult life stages. Activities, Adaptation & Aging, 38(3), 175-187.
42. Everard, K. M.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reasons for activity and older adult well-be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8(3), 325-340.
43. Losier, G. F., Bourque, P. E., & Vallerand, R. J. (1993). A motivational model of leisure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The Journal of psychology, 127(2), 153-170.
44. Molanorouzi, K., Khoo, S., & Morris, T. (2015). Motives for adult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type of activity, age, and gender. BMC public health, 15(1), 1-12.
45. Nimrod, G., & Shrira, A. (2016). The paradox of leisure in later lif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1(1), 106-111.
46. Ragheb, M. G., & Tate, R. L. (1993). A behavioural model of leisure participation, based on leisure attitud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isure studies, 12(1), 61-70.
47. Ryu, J., & Heo, J. (2018). Relationships between leisure activity types and well-being in older adults. Leisure Studies, 37(3), 331-342.
48. Sala, G., Jopp, D., Gobet, F., Ogawa, M., Ishioka, Y., Masui, Y., ... & Gondo, Y. (2019). The impact of leisure activities on older adults’ cognitive function, physical function, and mental health. PloS one, 14(11), e0225006.
49. Tang, M., Wang, D., & Guerrien, A. (202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motivation, and well‐being in later life: Contributio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PsyCh journal, 9(1), 5-33.
50. Vallerand, R. J., & O'Connor, B. P. (1989). Motivation in the elderly: A theoretical framework and some promising findings. Canadian Psychology/Psychologie canadienne, 30(3), 538-550.
51. Vallerand, R. J., O'Connor, B. P., & Hamel, M. (1995). Motivation in later life: Theory and assessmen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1(3), 221-238.
52. Van Der Goot, M., Beentjes, J. W., & Van Selm, M. (2012). Meanings of television in older adults' lives: an analysis of change and continuity in television viewing. Ageing & Society, 32(1), 147-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