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Current Issu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4, pp. 29-38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2
Received 01 Nov 2022 Revised 23 Dec 2022 Accepted 26 Dec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12.46.4.29

재한 중국유학생의 여가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여가관여도와 참여지속의사의 관계
김욱1 ; 김미향2
1국민대학교 박사과정
2국민대학교 교수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Involvement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ccording to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in, Xu1 ; Kim, Mee-hyang2
1kookmin University
2kookmi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Mee-hyang E-mail: mhkim@kookmin.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amples were taken from 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and the final 2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using SPSS. Through this proces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low participation group (104 people, 51.5%)’ and ‘high participation group (98 people, 48.5%).' Second, the ‘high participation group’ was higher in all factors even in leisure participation than the ‘low participation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high participation group’ had a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than the ‘low participation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 self-expression, attractiveness, and centrality of leisure participation had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on.


Keywords: Leisure activities, Degree of participation, Chinese students in korea, Leisure involvement, Continue participation
키워드: 여가활동, 참여정도, 재한 중국유학생, 여가관여도, 참여지속의사

References
1. 강동훈, 심성섭(2009). 여성의 벨리댄스 참여 정도가 여가만족과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8(3), 121-130.
2. 기영화, 장지현(2019). 의사결정나무분석을 이용한 외국인유학생 생활만족도 분석: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121-144.
3. 김이삭, 김영재(2020). 한국인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관여도와 여가만족 관계 분석. 한국리듬운동학회지, 13(1), 39-50.
4. 남순현(2021). 중국인인가? 유학생인가? 중국유학생의 민족정체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전략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2), 745-770.
5. 노경섭(2016). 제대로 알고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6. 마스치(2017).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중국인과 한국인이 주로 사용하는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회 학술대회, 51-58.
7. 문정원(2014). 골퍼의 여가관여도, 여가기능 및 여가지속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8. 민병진, 김욱(2009). 스포츠 피싱 참여자의 참여 정도에 따른 관여도의 연구. 한국레저스포츠피싱학회지, 1, 39-47.
9. 박겸수(2017). 공공서비스품질이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가치지각이 매개효과분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0. 박소정(2013). 초등학교 방과 후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관여도, 만족도 및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11. 박재규(2013). 성인의 운동참여 정도가 회복탄력성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1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본부(2022).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22년 6월호. https://www.immigration.go.kr/immigration/1569/subview.do?enc.
13. 서울대학교 체육연구소(1995). 국민여가활동 참여실태조사.
14. 석부길, 조광민, 김수현(2009). 직장인들의 스포츠활동 참여동기, 스포츠 관여도와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구조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4), 209-222.
15. 손로(2012). 중국 유학생 동화, 여가만족, 생활만족 간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16. 송민혜, 최윤철(2017). 중국인 유학생의 차별경험이 학교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3(3), 367-393.
17. 심재명(2016). 여가동기와 여가권태 유형별 여가활동 참여 비교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여가학연구, 14(3), 85-111.
18. 오민규(2017). 생활체육 축구동호회 참여정도가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19. 왕방, 이창식(2013). 재한 중국 유학생의 여가만족과 희망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학회지, 11(3), 397-405.
20. 유기성, 이충식(2007). 레저스포츠 참여자의 참여정도에 따른 관여도의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8(1), 143-156.
21. 육승하(2015). 생활체육 수영참여자들의 참여 정도와 운동지속의사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22. 이민석, 이철원(2017). 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1), 503-515.
23. 이준원(2007). 야외활동 참가자의 여가경험과 여가만족, 생활만족 및 재참여의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1), 169-181.
24. 이재모(2008).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 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장대갑(2012). 사관학교생도의 여가활동 참여동기, 관여도, 여가만족 및 생활적응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6. 장승원(2007).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의 재밋거리와 관여도,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27. 장승원(2008). 댄스스포츠 참여노인의 참가정도와 재밋거리, 관여도, 여가만족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17(1), 111-122.
28. 조설진(2019).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9. 주형철, 신종화(2013). 중국인 다문화가정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여가만족 그리고 심리적안녕감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8(3), 51-65.
30. 지명원, 조태영(2012).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여가만족,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6(6), 145-165.
31. 진산산(陳姗姗)(2003). 文化産業的發展. 平原大學校學報, Journal of Pingyuan University, 20(3), 33-34.
32. 최성범, 박승환(2010) 여가동기의 유형이 여가관여도, 만족 및 참가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127-140.
33. 하민아(2011). 여고생의 댄스 스포츠 수업 참여에 따른 관여도, 만족도 및 참여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34. 하선우(2010). 인문, 사회과학편: 대학생 여가활동 참여자의 여가동기, 여가활동 관여도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9(2), 331-342.
35. 한사비나(2015). 진지한 여가가 여가관여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36. 한광훈, 박봉수(2012). 국내 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실증연구 - 중국인 유학생의 여가만족도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구문화교류연구), 1(1), 157-179.
37. 홍경완(1999). 중국인 유학생들의 여가제약 연구. 관광연구, 24(2), 45-64.
38. 柴一博(2020). “Z世代”大学生生活方式的特征及应对策略. 高校后勤研究, (05), 80-83.
39. 麦洁莹, 文轶然(2020.4.11). Z世代业余生活规划:休闲娱乐与自我提升两不误. 南方都市报. https://www.163.com/dy/article/H4LIU4O505129QAF.html.
40. 王帅(2019). 改革开放以来大学生思想热点演进研究. 博士学位论文, 东北师范大学.
41. 叶丽(2011). 当代大学生休闲生活状况分析. 山西青年管理干部学院学报, (04), 28-30.
42. 易欣华, 伍争(2007). 中美高校休闲教育之比较研究. 湖南工程学院学报(社会科学版), (01), 92-95.
43. 张国松, 庄立臣(2015). 大学生休闲观误区及解决对策. 教育教学论坛, (09), 53-54.
44. 张烜华(2013). 大学生休闲教育的心理健康价值探究. 硕士学位论文, 天津理工大学.
45. 郑宁(2008). 大学生休闲态度与休闲阻碍的关系研究. 青年探索, (04), 74-77.
46. Aiken, F. W.(2001). An analysis of selected personal, environmental, and activity characteristic related to exercise adher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mple University.
47. Bolton, R. N. and J. H. Drew(1991). A Multistage Model of Customers Assessment of Service Quality and Valu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54, 69-82.
48. Jon Antil(1984).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11, 203-209.
49. Kyle, G. T., Absher, J. D., Norman, W., Hammitt, W. E., & Jodice, L.(2007). A modified involvement scale. Leisure Studies, 26(4), 399-427.
50. LUO, XUNXI(2015).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에 따라 사회적지지, 문제해결력, 도움 추구태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51. Mannell, R, C. (1993). High-investment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 Committed, serious leisure and flow activities. California sage, 25-145.
52. Mclntyre, N. (1989). The personal meaning of participation: Enduring involvemen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1, 167-179.
53. Michell, A, A. (1979). Involvement: a potentially important mediator of consumer behavior. ACR North American Advances, 191-196.
54. Zeithaml, V.A., L.L. Berry, & A. Parasuraman(1996).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e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60, 3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