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Current Issu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3, pp. 27-40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2
Received 29 Jul 2022 Revised 08 Sep 2022 Accepted 23 Sep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9.46.3.27

비대면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재미가 진지한 여가에 미치는 영향
사혜지1 ; 한지훈2 ; 이평원3
1연세대학교 강사
2연세대학교 강사
3한양대학교 강사

The Effect of Fun Factor on Serious Leisure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leisure activities
Sa, Hye Ji1 ; Han, Jee-Hoon2 ; Lee, Pyoung Won3
1Yonsei University
2Yonsei University
3Hany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an, Jee-Hoon E-mail: lv010@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un factor of participation in non face-to-face leisure activities, which is a new participatory paradigm after the declaration of a pandemic, on serious leisure. A questionnaire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the conduct of the study, and a total of 422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in this wa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non-face-to-face leisure activitie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interaction,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health), family support, praise and pleasure, which are sub-factors of fun. Second, the effect of non-face-to-fac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type,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health), inter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mwork) among the sub-factors of fu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ious leisure in physical and social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For cultural activities, physical strength improvement (health), praise and pleasure, interaction, and family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ious leisure. Lastly, in the case of intellectu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all sub-factors of the fun fact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ious leis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fun factor in order to activate non-face-to-face leisure participation in the future and to encourage participation by focusing on it.


Keywords: Fun Factor, Serious Leisure, Leisure Type, non-face-to-face, leisure activities
키워드: 재미요인, 진지한여가, 여가유형, 비대면여가활동

References
1. 강승우, 김영재(2019). 여가유형에 따른 수정된 계획행동(MTPB)과 진지한 여가의 관계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187-199.
2. 권순재(2021). 여가활동으로서 가상현실(VR) 컨텐츠 재미요인이 여가만족 및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51-60.
3. 권오정(2020). 코로나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1(2). 123-134.
4. 권태광, 정성현(2021).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1), 271-281.
5. 고대선(2020). 자기결정성이 홈트레이닝(home training)참여자들의 운동몰입,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611-620.
6. 고선영, 정한균, 김종인, 신용태(2021). 문화 여가 중심의 메타버스 유형 및 발전 방향 연구, 정보처리학회논문지, 10(8), 331-338.
7. 김경렬(2022). 교양 수상스포츠 수업 참가자의 참여 동기, 재미 요인, 수업 만족 및 행동 의도 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6(1), 11-26.
8. 김난도(2018). 트렌드 코리아 2018. 미래의 창
9. 김미량, 김재운, 황선환(2010). 진지한 여가척도(SLIM)의 단일문항측정 적용검토.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4), 147-156.
10. 김미량, 홍서연(2020). 배드민턴 동호인의 진지한 여가 수준에 따른 재미요인과 운동지속수행 분석. 한국융합과학회지, 9(3), 67-84.
11. 김미량, 황선환(2016). 진지한 여가와 여가활동 참여정도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1), 69-81.
12. 김병준, 성창훈(1997).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1): 스포츠 재미거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8(2), 43-60.
13. 김영미, 김일광, 박수선, 이종길, 양재식(2015). 결혼이주 여성의 사회통합을 위한 여가활성화 정책 방안. 한국체육학회지, 54(5), 77-87.
14. 김유식, 이솔잎, 박세혁(2021). 홈트 챌린지 참여자의 사회적지지가 성취목표성향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0(5), 391-401.
15. 김지태(2010). 고교 체육수업의 재미요인이 여가스포츠참가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4), 17-26.
16. 김하은(2021).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의 길이에 따른 행복감과 의미감이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울.
17. 나하나(2020). 식공간에서 언택트 마케팅의 경험적 가치가 소비자 만족도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의 키오스크 이용을 중심으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수원.
18. 남주원(2020). ‘언택트(Untact)’ 기법의 공연예술 마케팅에 관한 연구: 온라인 기반의 미디어를 활용한 공연예술 마케팅.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서울.
19. 대학내일20대연구소(2022).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2022. 위즈덤하우스. 서울.
20.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21. 박원임, 김길양(1999). 여가속의 즐거움(Enjoyment)과 재미(Fun)에 대한 고찰.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12, 134-141.
22. 박인혜(2011). 야구동호인의 운동참여에 대한 목표성향, 재미요인,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5(3), 105-115.
23. 백현, 심상신(2011).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 경험과 여가기능, 몰입경험 및 운동지속의사에 관한 인과모형. 한국체육학회지, 50(6), 337-352.
24. 사혜지, 한지훈(2021). 언택트 여가활동 참여자의 재미요인, 여가열의와 생활만족의 관계.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4), 25-36.
25. 서송민(2014). 학교스포츠클럽의 재미요인이 체육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26. 송기헌(2009). 인라인스케이트 마니아의 재미요인과 운동몰입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순청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아산.
27. 오정수(2022). 언택트 스포츠 참여자의 재미요인과 여가열의,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31(3), 119-130.
28. 유동균, 정수봉, 최승국(2020). 코로나19 현상에서 온라인 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선택속성 차이분석.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21-32.
29. 윤상영(2017). 대학 교양체육수업 재미요인과 운동 몰입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2), 789-802.
30. 이민석, 이평원, 서광봉(2021). 베이비붐 세대의 진지한여가 신체활동 참여가 레저스마트기기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확장된 TAM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4), 51-63.
31. 이상경, 김병국(2016). 진지한 여가 참여와 스트레스 극복과정. 관광학연구, 40(2), 181-200.
32. 이상덕(2010). 축구 참여의 재미요인, 운동지속, 운동중독, 심리적 행복감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39), 811-822.
33. 이유진, 황선환(2021). 문화자원봉사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의 조절효과. 여가학연구, 19(3), 109-123.
34. 이용주, 문양세, 김혜숙, 김진호(2008). 온라인 교육 사이트의 교육 환경 및 효과 분석. 정보통신논문지, 12, 117-123.
35. 이현주(2011). 중학생의 여가운동 제약감 요인과 여가태도의 관계.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
36. 이형수, 이현종, 허용강(2010). 레스토랑 단골고 객의 심리적 소유감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13(2), 255-275.
37. 이화형, 김태형, 이지환(2021). 위드 코로나 시대의 대학생 여가문화 연구: 코로나19의 여가제약이 여가태도와 여가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0(5), 153-167.
38. 장혜리(2021). 언택트(Untact)시대 아티스트를 지원하는 팬 커뮤니티 플랫폼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39. 전기제, 유도상, 신승호(2021). 언택트(비대면) 교육활성화에 따른 온라인 스포츠 교육 서비스품질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1), 103-114.
40. 전정호(2020). 스포츠센터 회원들의 재미요인이 여가만족 및 여가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1), 227-237.
41. 조보성(2007). 전문형 여가참가자의 스포츠 재미와 행복의 관계.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42. 최종화(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과 언택트 혁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6), 52-55.
43. 최현정(2015). 호텔직원의 지각된 통제가 일-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4(1), 219-237.
44. 한승엽, 김홍렬, 윤설민, 장윤정(2007).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문화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2(3), 323-340.
45. Arai, S. M., & Pedlar, A. M. (1997). Building communities through leisure: Citizen participation in a healthy communities initiativ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2), 167-182.
46. Chen, I. S. (2020). Turning home boredom during the outbreak of COVID-19 into thriving at home and career self-management: The role of online leisure craf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47. Elpidorou, A. (2018), “The good of boredom”, Philosophical Psychology, 31(3), 323-351.
48. Gammon, S., & Ramshaw, G. (2021). Distancing from the present: Nostalgia and leisure in lockdown. Leisure Sciences, 43(1-2), 131-137.
49. Goff, S. J., Fick, D. S., & Oppliger, R. A. (1997).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serious leisure and spouses' perceived leisure-family conflic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1), 47-60.
50. Gould, J., Moore, D., McGuire, F., & Stebbins, R. (2008). Development of the serious leisure inventory and mea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40(1), 47-68.
51. Gould, D., & Petlichkoff, L. (1988).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attrition in young athletes. Children in sport, 3, 161-178.
52.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53. Lutzin, S. G. (1979). Managing municipal leisure services. International City Management Association.
54. Radof, J. (2011). Gamification & Social game. Park gi Sung Trans. acon Publication.
55. Schiefele, U. (1991). Interest,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3-4), 299-323.
56. Sohn(2000).
57. Stebbins, R. A. (1982). Serious leisure: A conceptual statement. Pacific sociological review, 25(2), 251-272.
58. Stebbins, R. A. (1992). Amateurs, professionals, and serious leisure. McGill-Queen's Press-MQUP.
59. Tsaur, S. H., & Liang, Y. W. (2008). Serious leisure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Leisure Sciences, 30(4), 325-341.
60. van Tilburg, W.A.P. and Igou, E.R. (2012), “On boredom: lack of challenge and meaning as distinct boredom experiences”, Motivation and Emotion, 36(2), 181-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