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Current Issu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2, pp. 51-61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29 Apr 2022 Revised 30 May 2022 Accepted 17 Jun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6.46.2.51

우리나라 국민들의 여가인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여가정책만족도의 매개효과
김보람1 ; 이유진2 ; 김매이3
1고려대학교 연구교수
2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
3고려대학교 교수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ciousness and happiness of the people of our country
Kim, Bo-Ram1 ; Lee, Yujin2 ; Kim, May3
1Korea University
2University of Seoul
3Korea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May E-mail: kimmay@korea.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olicy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ciousness and happiness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and evaluating leisure policies for the happy life of the people. In addition, specific leisure policy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happiness were identified. To this end, a sample of 9,469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Using SPSS 27.0, frequenc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rocess Macro 3.4 ver, Model 4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s drawn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eisure policy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consciousness and happiness. Next, among leisure policy satisfaction factors, diversity of leisure facilities, legal guarantee of holidays and vaca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 the order of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club foster and suppor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Therefore, starting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leisure, effective leisure policies that reflect the satisfaction and desires of the people should be continuously and actively devised and implemented. Through this, I hope that all of our people will be able to get closer to a more prosperous and happy life.


Keywords: leisure consciousness, leisure policy satisfaction, happiness, leisure activities,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키워드: 여가인식, 여가정책만족도, 행복, 국민여가활동조사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고려대학교에서 지원된 연구비로 수행되었음(Supported by a Korea University Grant)’


References
1. 강혜숙, 한학진(2012). 여가유형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여성 여가만족 및 행복수준 관계분석. 호텔관광연구, 14(2), 234-252.
2. 김보람, 김매이(2021). 여가활동 참여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가생활만족 및 행복 결정요인. 여가학연구, 19(3), 71-91.
3. 김보람, 김매이(2020). 청소년들의 학업과 여가의 균형에 따른 여가시간, 여가비용 및 행복수준. 여가학연구, 18(3), 41-61.
4. 김상윤(2020). [건강상식] ‘코로나 19’ 제약에서 벗어난 홈트레이닝. 원간군사저널, 7, 81-83.
5. 김선희(2017). 공공여가시설의 서비스품질과 여가서비스 전달체계만족 및 공동체의식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4), 37-49.
6. 김은수, 정득, 이종석(2020). 공공 여가시설 만족과 여가정책 만족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여가인식의 조절효과: 국민여가활동조사 (2018) 를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95, 591-616.
7. 노용구(2006). 여가 연구에 있어 질적 연구의 타당성.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4), 153-165.
8. 노용구(2007).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0, 221-230.
9.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9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보고서.
10. 문화체육관광부(2020). 2020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보고서.
11. 문화체육관광부(2015). 국민여가활성화 기본법.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여가정책과.
12. 문화체육관광부(2018). 국민여가활성화 기본계획. 문화체육관광부.
13. 양원희, 여인성, 이정일(2021). 성인의 헬스케어 여가 인지가 심리적 행복감 및 행동변화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30(1), 184-194.
14. 윤소영(2016). 고령자 대상 여가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4), 1-13.
15. 윤소영, 박두용(2014). 한국인의 여가행복지수 개발 및 적용. 여가학연구, 12(1), 149-173.
16. 윤혜진, 김영문, 김은희(2016). 세대별 여가 인식, 활동 그리고 행복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8(12), 353-370.
17. 이유진, 황선환, 김재운(2020).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자원 요인. 여가학연구, 18(1), 19-33.
18. 이윤영(2019). 사행산업 경험자의 공공여가시설 인지도가 여가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가정책 중요도와 민간여가시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2), 51-65.
19. 이철원(2005). 현대여가학. 서울: 대한미디어.
20. 정광현, 원철식(2002). 라이프스타일, 여가인식과 만족의 관계. 관광연구, 17(2), 23-41.
21. 정영금, 윤소영(2021). 여가활동과 행복의 관계 분석을 통한 1인가구의 여가관련 산업 방향 연구. 여가학연구, 19(4), 17-30.
22. 조민구(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요인의 실증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서울.
23. 주진영, 이세경, 원형중. (2021). COVID-19 (코로나) 발생 전후로 나타난 청년의 여가활동 유형과 우울감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2), 87-99.
24. 최석환, 김영환, 조운용(2009). 중년세대의 여가인식과 스포츠가치관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109-124.
25. 차재빈(2018). 국민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에 관한 연구:수정된 IPA를 활용하여. 관광레저연구, 30(5), 209-223.
26. 최승묵(2020). 주 52시간 상한제 실시 여부에 따른 여가 활동 참여 실태 및 만족도 분석: 2019 국민여가활동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4), 389-406.
27. 한진오, 정득, 이종석(2019). 공공여가시설만족이 여가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여가정책만족의 매개효과. 여가학연구, 17(2), 61-85.
28. 황옥경, 한유미, 김정화, 양효현(2015). 권리로서의 놀이와 여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아동과 권리, 19(4), 755-774.
29. 황향희, 김보람(2012). 리듬운동 참가자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여가만족 및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6), 377-389.
30. Beard, J. G. & Ragheb, M. G. (1983). Measuring leisure motiv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5(3), 219-228.
31. Hayes, A. F.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2ed). New York, NY: Guilford Press.
32. Jacobs, J. A., & Gerson, K. (2001). Overworked individuals or overworked families? Explaining trends in work, leisure, and family time. Work and occupations, 28(1), 40-63.
33.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2005). Pursuit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aral Psychology, 9, 111-131.
34. Mansfield, L., Daykin, N., & Kay, T. (2020). Leisure and wellbeing. Leisure Studies, 39(1), 1-10.
35. Peterson, C., & Stumbo, N. (2000).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Design. MA: Allyn and Bacon.
36. Tennur, Y. L.(2013). Life satisfaction, leisure satisfaction and perceived freedom of park recreation participants, Social and Behavior Sciences, 93, 1985-1993.
37. Veenhoven, R.(1995). The cross-national pattern of happiness: Test of predictions implied in three theories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4,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