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Current Issue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8 , No. 1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6, No. 2, pp. 27-37
Abbreviation: KSLRP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28 Apr 2022 Revised 09 Jun 2022 Accepted 17 Jun 2022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2.6.46.2.27

국가정원 여가공간의 지속가능한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만국가정원을 중심으로
강희엽1 ; 김형훈2
1호남대학교 교수
2호남대학교 교수

A Study on the Sustainable Utilization Plan of National Garden Leisure space: Focused on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Kang, Hee-Yeob1 ; Kim, Hyung-Hoon2
1Honam University
2Honam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Kim, Hyung-Hoon E-mail: khh@honam.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 leisure space of the national garde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restorativeness, eco-friendly attitude, and revisit intention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visitors.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314 surveys were collected from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visit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restorativeness had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attitude. Second, perceived restorativeness had positive effect on rivisit intention. Third, eco-friendly attitude had positive effect on eco-friendly attitude. In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showed that perceived restorativeness is one of significant variable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Suncheon bay nation garden, and that manager and practitioner can consider restorative quality to improve sustainable utilization of Suncheon bay nation garden.


Keywords: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perceived restorativeness, eco-friendly attitude, revisit intention
키워드: 순천만국가정원, 회복환경지각, 친환경 태도, 재방문 의도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제46회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 춘계학술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연구임.


References
1. 강효민(2009). 자연친화적 스포츠로서 스쿠버 다이빙 참가수준과 환경태도 및 환경보호행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 1611-1620.
2. 강희엽, 서광봉(2020). 순천만국가정원 방문객들의 회복환경지각, 회복경험 및 행복감의 관계: 주의회복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2), 31-40.
3. 김경식(2021).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전후 여가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60(2), 163-176.
4. 김미라(2020). 자연관광이 치유체험,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1), 59-79.
5. 김민규, 김승환(2020). 아웃도어레크리에이션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 환경태도 및 친환경 행동의 관계. 교육문화연구, 26(2), 753-763.
6. 김진, 고동완(2011). 생태관광활동 참여에 따른 관광환경태도의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39(1), 56-64.
7. 김진옥, 김도영(2015). 힐링관광 참여자의 주의회복과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감정이 삶의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4(4), 161-178.
8. 문상정(2020). 회복환경지각과 긍정적 정서, 심리적 행복감,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45(1), 135-159.
9. 박미옥(2015). 정원의 생태계 문화서비스 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2), 115-123.
10. 박정연(2020). 북한산 국립공원의 관광매력속성과 가치, 만족, 친환경 태도 및 행동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11. 박주란, 김병국(2021). 회복환경지각이 회복경험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5(3), 97-107.
12. 변상우(2015). 관광지 선택 동기가 관광지 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과정보연구, 34(3), 197-213.
13. 사혜지, 한지훈(2021). 코로나19와 여가제약: 위계적 여가제약 모델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60(1), 387-400.
14. 서정길(2020). 국가정원 방문객의 시장세분화 및 정원관광 평가에 관한 연구: 순천만국가정원과 울산태화강국가정원 비교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대학원, 대전.
15. 윤동환, 한승훈(2020). 관광지 매력성, 환경책임행동, 그리고 장소애착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4(3), 33-46.
16. 윤지인, 김지혜(2020). 한강고원 방문객의 회복환경지각이 장소애착심에 미치는 영향: 주의회복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1-13.
17. 이덕안(2005). 녹색 도시를 위한 새로운 공간자원, 담과 벽.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3), 465-482.
18. 이승훈, 현명호(2004). 자연환경과 회복환경의 스트레스 완화요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3), 609-632.
19. 이승훈(2011). 심리적 지표 평가에 의한 도시와 옥상정원, 숲의 경관 비교. 서울도시연구, 12(3), 53-65.
20. 임세윤(2016). 자연휴양림의 중요도,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서울.
21. 전명숙, 이시내(2020). COVID-19 대처, 지속가능한 치유형 농촌 관관상품 사례분석: 농촌진흥청 치유형 농촌관광상품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6(4), 41-49.
22. 정산설, 김경배, 이훈(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기반 여행은 사람들의 여행행복을 증진시키는가. 관광학연구, 45(5), 33-56.
23. 정승훈(2018). 세계자연유산 방문 관광객의 동기, 만족, 환경태도, 행동의도의 관계 분석. 관광경영연구, 22(3), 177-206.
24. 제주관광공사(2020). 코로나19 Before vs After 제주관광 트렌드 분석.
25. 진철웅(2019). 국내 생태문화 관광의 매력성이 친환경 행동 문화에 미치는 영향. 국제문화연구, 12(2), 211-235.
26.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7. Cheung, M. F., & To, W. M. (2019). An extended model of value-attitude-behavior to explain Chinese consumers’ green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50, 145-153.
28.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29. Gunst, R. F., & Mason, R. L. (1980). Regression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a data-oriented approach (Vol. 34). CRC Press.
30.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31. Kaplan, S. (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3), 169-182.
32. Kaplan, R., & Kaplan, S. (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CUP Archive.
33. Lee, W., & Jeong, C. (2018). Effects of pro-environmental destination image and leisure sports mania on motiva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visitors to Korea's national parks. Journal of destination marketing & management, 10, 25-35.
34. Song, H. J., Lee, C. K., Kang, S. K., & Boo, S. J. (2012). The effec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perceptions on festival visitors’ decision-making process using an exte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ourism Management, 33(6), 1417-1428.
35. Steg, L., & Vlek, C. (2009). Encouraging pro-environmental behaviour: An integrative review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9(3), 309-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