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7, No. 3, pp.29-4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31 Jul 2023 Revised 06 Sep 2023 Accepted 20 Sep 2023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3.9.47.3.29

2030 여성 홈트레이닝의 진지한 여가 체험에 관한 연구

서수진1 ; 이승희2
1서원대학교 교수
2서원대학교 교수
A Study on The Serious Leisure Experience of Home Training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Seo, Soo-Jin1 ; Lee, Seung-Hee2
1Seowon University
2Seowo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eo, Soo-Jin E-mail: ssj7525@empas.co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ubstantive theory that can explain the serious leisure experience formation process of home training participants by analyzing what experiences they have while participating in home training, how socio-environmental situations affect participants, and what interactions to maximize goals. As a result of in-depth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serious leisure process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nts were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causal conditions and situational contexts in the process of forming serious leisure experiences.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health, and mental management. Second, participants' burden as they experience home training has interventional conditions due to fights with themselves, restrictions on women's marriage and childbirth, and perception of wrong exercise posture without feedback. However, it is judged that confidence was formed by changing the body and relieving mental stress by immersing in home training through maximizing satisfaction with home training, such as diet parallelism, SNS network formation, and watching YouTube home training videos. Third, it was found that they reached their own professional level in establishing themselves as a serious leisure as a home training expert. As a home training beginner, they were improving their exercise skills by using exercise knowledge, body principles, and anatomical terms.

Keywords:

20s and 30s, home training, women, serious leisure, leisure experience

키워드:

2030세대, 여성, 홈트레이닝, 진지한 여가, 여가체험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1068319)

References

  • 고대선(2020). 자기결정성이 홈트레이닝(home training) 참여자들의 운동몰입,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5(4).
  • 권일권, 김지태, 박상규(2016). 캠핑 매니아의 진지한 여가체험 형성에 관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4, 531-542.
  • 권일권, 남상백(2015). 해양스포츠 매니아의 진지한 여가체험 형성에 관한 질적탐구. 한국수산해양교육연구, 27(6), 1783-1796.
  • 권재윤, 남상백(2022). 코로나19 펜데믹 전후로 홈트레이닝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한국사회체육학회지, 90, 279-293.
  • 김동규, 한진욱, 최경근(2019). 홈트레이닝 제품의 지각된 가치가 지속이용의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7, 121-130.
  • 김미량(2015). 진지한 여가 척도의 재정립. 한국체육학회지, 54(2), 313-322.
  • 김민주, 임수원, 박현권(2015). 대학피트니스센터 이용자의 몸에 대한 인식과 몸만들기 방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2, 383-397.
  • 김상화(2022). 홈트레이닝 참여자들의 자기결정성이 운동만족과 재이용에 미치는 영향(경찰관련학과 재학생 대상).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27(4), 153-160.
  • 김상화, 고병완(2020). 홈트레이닝 앱 사용자의 운동 영상 시청이 사용자의 신체 활동량과 지속적인 앱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2, 130-131.
  • 김석일, 배진희. (2009). 댄스운동에 참여하는 젊은 여성들의 신체지각과 날씬함 추구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53-62.
  • 김송희(2013). 동안 권하는 사회:미디어가 재현하는 몸과 나이, 그리고 젠더. 미디어,젠더& 문화, 27, 77-115.
  • 김우경(2017).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지도자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논문지, 11(6), 153 –163.
  • 김유식, 이솔잎, 박세혁(2021). 전업 주부의 홈트레이닝 참여를 통한 여가경험이 실존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5(3), 77 –90.
  • 김홍설, 김태환, 황선환(2018). 진지한 여가 수준에 따른 진지한 여가 비용의 하위요인 차이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4, 281-290.
  • 마세근(2011). 여가스포츠 매니아의 목표성향이 긍정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박종임, 김승환(2017).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심혈관기능, 인슐린저항성 및 Leptin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413-424.
  • 박지윤, 천혜경(2017). ‘모순된’ 근육- 20대 여성의 근육 만들기 실천 경험. 미디어,젠더&문화, 32(3), 47-85.
  • 서수연(2021). 웰니스와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홈트레이닝의 매개효과. 한국미용학회지, 27(6), 1390-1396.
  • 서정훈, 김종휴, 김상철(2014). 복합운동이 고혈압전 단계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압 및 동맥경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2(1), 37-42.
  • 손성우(2001).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매스미디어 담론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신희란(2017). 홈트레이닝 활성화를 위한 브랜딩 전략 및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승원(2008).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지질, 렙틴, 코티졸,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3(2), 795-802.
  • 양큰솔(2016). 휘트니스 운동 참여자의 ‘몸만들기’의 의미 탐색.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정희, 오재우, 조광민(2019). 후기수용모델을 적용한 1인 미디어 유튜브 홈 트레이닝의 지속의도 연구. 한국융합학회지, 10(2), 183-193.
  • 유현주(2015). 실존주의 집단삼당에서의 실존적 자기인식 경험.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유혜인(2021). 4주간의 비대면 홈트레이닝이 성인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 차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태일(2004). 통과하는 몸: 여성의 날씬한 몸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한국언론학보, 48(4), 5-30.
  • 이수안(2008). 소비문화산업의 몸 이미지와 젠더화된 응시. 한⋅독사회과학논총, 18(2), 185-208.
  • 이유진, 황선환(2021). 문화자원봉사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의 조절효과. 여가문화학회, 19(3), 109-123.
  • 이태용, 박문수(2016). 필라테스 회원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전문성이 운동몰입 및 고객만족과 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1), 667-678.
  • 이현진, 이록빛, 허진무(2022). 노인의 진지한 여가로서의 파크골프 참여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61(3), 177-192.
  • 임인숙(2002). “한국사회의 몸 프로젝트”. 한국사회학, 36(3).
  • 임인숙(2004). “다이어트의 사회문화적 환경”. 한국사회학, 38(2), 165-187.
  • 장폴사르트르(2009). 존재와 무. 서울: 동서문화사.
  • 전혜미, 반영환(2021). 사용자 기반 헬스케어와 사용자 경험 단계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학술대회, 205-208.
  • 전홍조, 김형훈, 이철원(2013). 테니스동호인의 진지한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2(1), 107-119.
  • 정재철(2007). 한국의 여성 몸 담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MBC 100분 토론의 “몸의 시대, 살빼기와 성형 열풍”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7(1), 292-318.
  • 정한상, 김성연(2021). 대학생들의 비대면 근력운동 프로그램 수행이 신체구성, 기초체력 및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1), 545- 552.
  • 조성식ㆍ이수연(2012). TV코미디 프로그램에 나타난 운동하는 여성의 몸과 다이어트에 관한 사회문화 담론. 한국체육학회지, 51(5), 75-84.
  • 주형철(2022). 기대확신모형을 적용한 홈트레이닝 유튜브 콘텐츠 특성과 개인의 건강 및 운동의식이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3(3), 429-439.
  • 최성호, 이원욱, 김현주, 원종서, 이지항, 이연주, 김진우(2017). 증강현실을 활용한 홈 트레이닝에서 가상 참여자의 영향: 몰입, 인지된 경쟁, 그리고 정보 습득의 욕구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20(3), 119-130.
  • 최수진(2020). 유튜브 관광콘텐츠 품질과 유튜버의 신뢰성이 지각된 즐거움, 사용자 만족 및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4(3), 123-145.
  • 허선양(2019). 홈 트레이닝 참여자들의 소비유형과 정보생산 전략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홍푸르메(2013). 실존주의 심리학 관점에서 본 미술치료.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Chris Shilling(2011). 『몸의 사회학』. 임인숙 옮김. 서울; 나남.
  • Ghram A, Briki W, Mansoor H, Al-Mohannadi AS, Lavie CJ, Chamari K.(2020). Home-based exercise can be beneficial for counteracting sedentary behavior and physical inactiv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older adults. Postgrad Med., 1–12. [https://doi.org/10.1080/00325481.2020.1860394]
  • Haywood, L., Kew, F., Bramham, P., Spink, J., Capenerhurst, J., & Henry, I. (2019). Understanding leisure. London: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429054570]
  • Kaas, E. T., Cerez, H. (2016) Examination of leisure negotiation,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in participants of campus recreational sports. Pamukkale Journal of Sport Science, 7(1), 67-85.
  • Mansfield, L., Daykin, N., & Kay, T. (2020) Leisure and wellbeing. Leisure Studies, 39(1), 1-10. [https://doi.org/10.1080/02614367.2020.1713195]
  • Morris, S. (2018). The implications of rejecting free will: An empirical analysis. Philosophical Psychology, 31, 299-321. [https://doi.org/10.1080/09515089.2017.1385753]
  • Nemcek, D. (2017). Self-esteem analyses in people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a comparison between active and inactive individuals. Physical Activity Review, 5, 95-104. [https://doi.org/10.16926/par.2017.05.14]
  • Patton, M.Q. (2005)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Sage, Thousand Oaks, CA.
  • Smith, G. (2007). “Social Software Building Blocks.” http://nform.ca/publications, .
  •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 of qualitative research. New Deli: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