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3, pp.141-152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26 Jul 2021 Revised 31 Aug 2021 Accepted 31 Aug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9.45.3.141

COVID-19 그리고 여가의 과제

한지훈1 ; 사혜지2
1연세대학교 강사
2연세대학교 강사
COVID-19 and the Tasks of leisure
Han, Jeehoon1 ; Sa, Hyeji2
1Yonsei University
2Yonsei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a, Hyeji E-mail: hyeji40@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enomenological analyze leisure tasks necessary for leisure activities in the COVID-19 situation. A total of six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in COVID-19 era were selec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from March to May 202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rst, the contents obtained through the interview were organized and analyzed through coding. Second, the areas were classified based on major themes or phenomena. Finally, categorization was carried out to derive meaningful interpretations and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veracity and validity of this study, objectivity was secured with the four evaluation methods of the qualitative study presented by Lincoln & Guba(198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derived as a result of 'stopping leisure activities', 'anxiety about leisure participation', 'change of leisure space', and 'necessity of leisure information'. In conclusion, informatization and new trends for leisure activities will continue to change. In line with this, new trends should be analyzed academically and related research questions should be continuously presented.

Keywords:

COVID-19, Leisure, The Tasks, Leisure activities, Leisure Constraints

키워드:

코로나-19, 여가, 과제, 여가활동, 여가제약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21년 질적탐구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됨

References

  • 김군수, 성영조, 한영숙(2020). 포스트 코로나 19, 뉴노멀 시대의 산업 전략. 이슈 & 진단, 1-25.
  • 김양진(2021년 5월 24일). “서울시민 70% 코로나 19로 문화활동 소중함 느껴”,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area/capital/996370.html
  • 김영천, 정상원(2017). 질적연구방법론 Ⅴ: Data Analysis.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 김준억(2020년 12월 14일). “코로나 끝나면 하고 싶은 여가활동 여행>문화>사교 순”,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1214102400005
  • 박광호, 이승연, 김진원(2020). 대학생들의 COVID-19 전후 여가변화와 여가동기 및 건강신념과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69-86.
  • 백선경, 박주영(2011). 대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정도와 여가만족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3(7), 531-545.
  • 사혜지, 이원상, 이봉규(2021).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22(2), 109-121.
  • 사혜지, 한지훈(2021). 코로나 19 와 여가제약: 위계적 여가제약 모델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60(1), 387-400.
  • 서울시(2020). 코로나 19로 달라진 시민의 일상 변화 실태조사. 2020.
  • 신경림, 장연집, 조영달, 김남선(2003). 질적연구 용어사전. 서울: 현문사.
  • 유진상(2020년 12월 16일). “비대면이 일상, 쉬향 대신 레저 취미”..코로나19가 가져온 소비 행태 변화, IT조선.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2/16/2020121602188.html
  • 이민배, 이철원, 김형훈(2014). 사회를 위한, 그리고 나 자신을 위한 여가: 사회적 여가 참여 대학생의 여가경험 분석. 여가학연구, 12(2), 43-67.
  • 이준희(2021년 3월 8일). “코로나19로 주거공간에 더 필요한 기능은 ‘취미, 휴식, 운동’”, etnews. https://www.etnews.com/20210308000228#
  • 이철원(2013). 여가학의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 임진선, 최아론(2021). COVID-19 시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구. 오일 및 응용과학 학회지), 38, 587-594.
  • 정상원(2018). van Manen 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질적탐구, 4, 1-30.
  • 조재식, 허창수, 김영천(2006). 교육학/교육과정 연구에서 질적 연구자가 고려해야 하는 타당도 이슈들: 그 다양한 접근들의 이해. 교육과정연구, 24(1), 61-95.
  • 진미정, 성미애, 손서희,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2020).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가족생활 및 가족관계의 변화와 스트레스.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8(3), 447-461.
  • 한상겸(2021). 코로나 19 시대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진흥연구, 9(1), 117-134.
  • 한지훈, 사혜지, 이민석(2020). SNS 이용 인식, 여가만족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4), 1-10.
  • 황향희, 김보람(2020). 상대적 여가박탈의 개념화.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4(3), 113-126.
  • Creswell, J. A. (1998). Five qualitative traditions of inquiry.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47-72
  • Gammon, S., & Ramshaw, G. (2021). Distancing from the present: nostalgia and leisure in lockdown. Leisure Sciences, 43(1-2), 131-137. [https://doi.org/10.1080/01490400.2020.1773993]
  •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sage. [https://doi.org/10.1016/0147-1767(85)90062-8]
  • Puhak J. (2020). ‘Zumping’ is the terrible breakup trend to emerge amid the coronavirus pandemic. Fox News, https://www.foxnews.com/lifestyle/zumping-terrible-breakup-trend-coronavirus-pandemic, .
  • Sintas, J. L., Belbeze, M. P. L., & Lamberti, G. (2020). Socially Patterned Strategic Complementarity between Offline Leisure Activities and Internet Practices among Young People. Leisure Sciences, 1-22. [https://doi.org/10.1080/01490400.2020.1782289]
  • Van Manen, M. (1994). 체험연구. 신경림 역. 서울: 동녘.(원본발간일 199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