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5, No. 2, pp.21-3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1
Received 07 May 2021 Revised 03 Jun 2021 Accepted 15 Jun 2021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1.6.45.2.21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여가소비 분석: Pre-Corona vs. With-Corona

이유진1 ; 김태환2 ; 황선환3
1서울시립대학교 연구교수
2서울시립대학교 박사과정
3서울시립대학교 교수
Covid-19 Leisure Consumption Analysis Using Big Data: Pre-Corona vs. With-Corona
Lee, Yujin1 ; Kim, Taehwan2 ; Hwang, Sunhwan3
1University of Seoul
2University of Seoul
3University of Seoul

Correspondence to: Hwang, Sunhwan E-mail: shhwang@uos.ac.kr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light the meaning of life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consumption and the trajectory of change in the pre-corona and with-corona periods start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selected Naver and Daum's blogs and cafes among social media channels, Google's Facebook and Twitter as data collection channels. Text containing the keyword "leisure consumption" were collected during the Pre-Corona era (from February 1, 2019 to February 1, 2020) and during the With-Corona ear (February 1, 2020 to February 1, 2021). First, in the Pre-Corona era, the top 10 frequency of word appearance were "consumption", "leisure", "time", "life", "activity", "culture", "trend", "society", "enjoyment" and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With-Corona era, "consumption," "leisure," "culture," "life," "activity," "corona," "time," "trend," "human rights" and "home" were the top 10.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ast between the pre-corona and with-corona periods wer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consumption amog groups in the Pre-Corona era were named as “The Happiness Elements of the Normal Era”, “The Leisure Consumption of Symbols”, “Expansion of Exchange”, and “Active Life” respectively.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consumption among groups in the With-Corona era were named as “The Happy Elements of the New Normal Era”, “One-dimensional Leisure Consumption”, “Reduction of Exchanges”, and “a Passive Life” respectively.

Keywords:

Covid-19, Pre-Corona, With-Corona, Big Data, Leisure consumption

키워드:

프리코로나, 위드코로나, 빅데이터, 여가소비

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5A07091809)

References

  • 강효민(2013). 브랜드 스포츠용품소비에 따른 청소년의 준거집단과 또래 동조성 및 과시소비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2(3), 285-297.
  • 곽재현, 홍경완(2017). 소득에 따른 여가 불평등: 여가시간·지출과 행복의 관계. 관광연구, 32(5), 293-309.
  • 구교준, 임재영, 최슬기(2014).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보, 48(2), 317-339.
  • 김경식(2021).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전후 여가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60(2), 163-176.
  • 김경식, 이연주, 한승진, 한승백(2019). 빅데이터를 활용한 여가트렌드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3(1), 25-41.
  • 김광석(2020, 9. 20). 위드 코로나 시대, 빅데이터로 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00920080239266, .
  • 김해원, 전채남(2014).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31(3), 5-51.
  • 남은영, 이재열, 김민혜(2012). 행복감, 사회자본, 여가: 관계형 여가와 자원봉사활동의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6(5), 1-33.
  • 류성(2021, 3. 20). 코로나 시대, 스마트팩토리가 더욱 중요해진 까닭. 이데일리,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84086628985288&mediaCodeNo=257&OutLnkChk=Y, .
  • 문화일보(2020, 5. 4).포스트 코로나19시대의 19가지 뉴트랜드. 문화일보,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5040103144c2000001, .
  • 박민규, 박순희(2008). 여자대학생의 여가소비성향 유형에 관한 연구. 여가학연구, 6(2), 83-107.
  • 박선권(2006). 현대적 여가의 상태. 서울: 르네상스.
  • 박한우, 이연옥(2009).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한국자료분석학회, 11(2), 731-744.
  • 서민준(2020, 4. 2). ‘경제 온도계’ 근원물가, 20년 만에 최저, 고개 드는 ‘디플레 공포’.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4021372i, .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20, 12. 28). 1인 가구의 문화/여가 및 여행 특성 심층분석. https://www.kcti.re.kr/web/board/boardContentsView.do
  • 윤소영(2010). 행복의 본질적 요소로서 여가경험에 대한 접근. 여가학연구, 8(1), 45-60.
  • 윤슬빈(2021, 3. 10). ‘여행에 미치다’가 분석한 코로나 전후 여행 트렌드는?. 뉴시스, https://www.news1.kr/articles/?4236485, .
  • 이국희, 최인철(2018). 일하고 놀까? 놀고 일할까?: 행복, 관계 그리고 여가 우선 선택. 여가학연구, 16(1), 29-53.
  • 이승은, 정은호, 박민혁(2016). 빅데이터를 활용한 에너지신산업 트렌드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11(1), 143-163.
  • 이유진, 황선환(2018). 가구소득과 여가시간에 따른 행복지수.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1), 86-96.
  • 이유진, 황선환, 김재운(2020).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자원 요인. 여가학연구, 18(1), 19-33.
  • 장윤정(2007). 여가 소비에 있어 부르디외 문화자본론의 비판: 포스트 모던 소비현상의 관점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1(3), 221-231.
  • 전채남, 서일원(2013). 빅데이터 분석의 기술마케팅 활용에 관한 연구: 잠재 수요기업 발굴을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1(2), 181-203.
  • 정양호(2021, 4. 6). 정책의 돼새김질, 반전의 밑거름.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0406000496, .
  • 조광익(2010). 여가 소비와 개인의 정체성. 관광연구논총, 22(2), 3-25.
  • 좌승훈(2020, 4. 20). 경기관광공사, 코로나19 종식 가장 하고 시은 것 ‘국내여행’. 스포츠서울, http://www.sportsseoul.com/news/read/907580, .
  • 차민경, 권상희(2015). 언론의 ‘창조경제’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언론학회, 59(2), 88-120.
  • 최병일(2021, 2. 18). 코로나 시대 행복경제학. 매경프리미엄, https://www.mk.co.kr/premium/special-report/view/2021/02/29724, .
  • 한교남, 한범수(2011). 한국 사회의 사회계층 간 여가소비의 구별: 문화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5(10), 181-199.
  • Bourdieu, P. (1984).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Rechard Nice tran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최종열 역 (1995/1996. 구별짓기. 서울: 새물결).
  • Easterlin, R. A. (1974). Do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89, 89-125. [https://doi.org/10.1016/B978-0-12-205050-3.50008-7]
  • Lyubomirsky, S., Sheldon, K. M., & Schkade, D.(2005).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9(2), 111-131. [https://doi.org/10.1037/1089-2680.9.2.111]
  • Maslow, A. H. (1967). A theory of meta motivation: The biological rooting of the value-lif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7(2), 93-127. [https://doi.org/10.1177/002216786700700201]
  • Smith, A. (2003).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E. Cannan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국부론 상·하(최호진·정해진 역). 서울: 범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