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4, pp.63-76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10 Nov 2020 Revised 03 Dec 2020 Accepted 17 Dec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12.44.4.63

문화예술 융합교육 여가프로그램 사례연구: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중심으로

신윤정1
1예술융합창작소 재주나비 대표
A Case Analysis on the Leisure program for Culture and Art Convergence Education: A study on the Gg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Shin, Youn-Jeoung1
1Jejunabi STEAM

Correspondence to: Shin, Youn-Jeoung Jejunabi, Hagwi Dong Nam6-Gil 27, Aewol-Eup, Jeju-Si, Korea E-mail: shinyj-t@hanmail.net

Abstract

The Culture and Arts Foundation carries out Gg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living in culturally isolated areas. However, many researches have focused on reporting the current status of arts education, and as a results, the current academia lacks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best practi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eisure program for culture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using Ggumdarack Saturday Culture School case and provide rich insights into the direction of arts education in the field. The present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uses focus-group interview. Ggumdarack Saturday Culture School program is an arts convergence program that combines Yeonggamnori, a cultural heritage of Jeju, and aims to integrate various art genre. Therefore, through the program, students solely focus on the culture of Jeju to find what is disappearing and have opportunities to become ambassador of the culture of Jeju. Second, students learned how to play together with music, dance, sports and art performance and expressed themselves in active and creative ways. Third, students spend Saturday with meaningful activities and communicate with peers through the program. Howev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reveals the needs of extensive and sophisticated educational programs that reinforce the convergence of not only art genre but also science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develop systematic curriculum for long-term program.

Keywords:

Culture art, Convergence education, Leisure program, Yeonggamnori

키워드:

문화예술, 융합교육, 여가프로그램, 영감놀이

References

  • 강병직(2016). 문화예술기반학교 창의성지수 개발 연구-초등학교 학급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45, 147-170.
  • 고경자(1998).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대학원.
  • 공선영(2019).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개발-초등6학년을 중심으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교육대학원.
  • 김세훈(2009). 문화정책 측면에서 본 예술교육 실태와 과제. 문화예술교육연구, 4(2), 107-122.
  • 김지영, 홍애령, 김은혜(2018). 역사콘텐츠 융합 무용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춤추는 역사박물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26(6), 317-353.
  • 김정선(2010). 무엇으로부터 소외인가?-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 미술교육논총, 24(1), 153-176.
  • 김현남(2011). 무용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술교육 연구, 9(3), 69-83.
  • 문화체육관광부(2018).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 문화체육관광부.
  • 박삼열(2012). 토론식 수업에서의 교수자 전략. 교양교육 연구, 6(4), 237-262.
  • 박주만(2020). 통합적 접근에 의한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국악 교육적 적용 방안. 이화음악논집, 191-219.
  • 서기자(2013). 융복합 교양교과목 개발과 효과에 대한 고찰. 교양교육연구, 7(3), 171-195.
  • 서울대학교병원(2013). 2013 융합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송미숙・김경은 (2013). 문화예술교육 지원 단체 및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무용 연구, 31(2), 77-102.
  • 이미영, 이길현, 장민혜(2020). 천안 거북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무용연구, 38(1), 143-166.
  • 이재우 (2019)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서예·한국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사례 연구- 2015년 학교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동양예술, 45, 243-271.
  • 이에스더・홍정은(2012). 방과 후 학교 예술교육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 - 초등학교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중심으로. 예술교육연구, 10(1), 65-92.
  • 이효나(2019). 지역기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례분석 연구 - 경산지역을 중심으로. 미간행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 임수진(2017). 무용 융합교육의 방향성 탐색 – 자연과학을 중심으로. 한국무용학회지, 17(2), 33-42.
  • 임승희, 김소영, 이유리 (2013). 문화예술교육의 효과 연구. 인문콘텐츠, (30), 225-245.
  • 오은영(2014). 융합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효과성 분석. 미간행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 정여주・정현주・김나영 (2007).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예술 치유 시범사업 평가 및 발전방안. 미술교육논총, 21(1), 265-288.
  • 정현일(2011). 통합 STEAM 교육 접근에서 예술(Arts)의 의미와 중요성 고찰. 예술과 교육, 17, 55-72.
  • 정진우(2018). 문화복지정책의 양상 변화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대학원.
  • 하주현(2006). 예술교육과 창의성. 문화예술교육연구, 1(1), 95-116.
  • 한지은・남경숙(2012). 저소득층 취학아동을 위한 디자인 창의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연구 -소외와 치유의 관점에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2). 526-538.
  • 홍애령(2014). 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술교육의 가능성 탐색, 무용역사기록학, 32, 257-274.
  • 현택수(2006). 문화복지와 문화복지정책의 개념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6, 101-122.
  • Hatch, J.A.(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진영은 역, 서울:학지사.
  • Kvale, S.(1998). 인터뷰-Intervie ws. 신경림 역, 서울:하나의학사.
  • Malchiodi. C.A.(1998). Art as healing, art in healthcare, and arts medicine: New names for art therapy?. Art Therapy, 15(3), 154-155. [https://doi.org/10.1080/07421656.1989.10759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