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4, No. 3, pp.127-139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0
Received 10 Aug 2020 Revised 06 Sep 2020 Accepted 17 Sep 2020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20.9.44.3.127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여가스포츠 참여의 효과검증: 삶의 의미와 긍정정서를 중심으로

신규리1 ; 손영미2
1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2건양대학교 교수
Validation of the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Affect
Shin, Kyu-Lee1 ; Sohn, Young-Mi2
1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2Kony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ohn, Young-Mi Konyang University, Daehak-ro 121, Nonsan, Chungnnam, Korea E-mail: shonym@konyang.ac.k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specific mechanism between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m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ased on the theory of happine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ning of life, positive affec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affec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the mor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the more they were inclined to pursue and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which led to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mor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the more they experience positive affect,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the direct effect of leisure sports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not significant, and the meaning of life and positive affect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eywords: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affect, meaning of life, dual mediating effects, college students

키워드:

여가스포츠 참여, 긍정심리자본, 긍정정서, 삶의 의미, 이중 병렬 매개효과, 대학생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 일반과제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강경연, 이제경(2017). 긍정심리자본과 진로관련 변인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과 시사점. 한국심리학회:학교, 14(1), 41-67.
  • 고동우, 김병국(2016). 진지성 여가경험과 긍정심리자본 및 삶의 질의 관계구조.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 광고, 17(1), 179-198.
  • 고현, 박신영(2019).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만족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215 –238.
  •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 김강훈, 김정기, 박상만 역(2012). 긍정심리자본-인간의 경쟁우위를 발전시키는 노하우. 서울: 럭스미디어.
  • 김기승, 함혜수(2020).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3), 469-480.
  • 김대권(2012). 여가스포츠 참가 정도가 여가몰입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1), 231-244.
  • 김보경, 조광익(2014). 청소년의 여가만족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관광연구저널, 28(11), 67-80.
  • 김성호(2015). 고등학생의 자기복잡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긍정적 자동적 사고와 긍정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종탁, 김상태(2018). 무도종목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긍정심리자본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무예연구, 12, 61-82.
  • 김주섭(2015).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직업탐색자신감, 취업준비행동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성인교육학회, 18(2), 43-67.
  • 남정훈(2010). 자전거활동 참가자의 스포츠 애호도, 운동정서 및 심리적 웰빙의 구조적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1(4), 167-182.
  • 문상정(2018). 중년기 여성의 부부갈등과 스트레스의 관계: 여가경험은 스트레스 대처효과가 있는가?. 지역산업연구, 41(4), 97-122.
  • 손수곤, 김인형(2015). 캠핑 참여자의 진지한 여가경험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4(5), 167-178.
  • 송해룡, 김찬원, 김원제(2012). 여가-신체활동 참여 여성노인의 삶의 의미, 낙관성 및 행복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4), 304-314.
  • 신규리, 오세숙(2017).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성별에 따른 운동신념, 운동중독, 정서의 영향관계 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1), 56-68.
  • 오세숙, 손영미, 전형상(2013).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대한 여가적 대처. 여가학연구, 11(2), 59-74.
  • 원두리(2007). 마음챙김, 의미부여 및 자율적 행동조절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보미(2017). 가족 돌봄자들의 스트레스 대처과정에서 신체여가활동의 역할에 관한 이해. 한국관광학회, 41(7), 115-135.
  • 이보미, 주덕(2015). 여가 참여정도 및 진지한 여가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7(3), 155-175.
  • 이영길, 전상희(2006). Does leisure matter for happiness? A theoretical discourse using a positive psychologist perspective.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4), 5-20.
  • 이현희, 김은정, 이민규(2003).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척도(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335-946.
  • 이호건, 전병준(2011). 직장 내 여가경험이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3), 1188 -1196.
  • 임세준, 이윤영(2018).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 활동이 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7(6), 341-350.
  • 장찬희, 이철원, 서광봉. (2017).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 스포츠 재미의 조절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6(5), 47-57.
  • 전주연, 송병국(2014).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이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3), 171-200.
  • 정재은(2018). 대학교 스포츠동아리 학생들이 지각한 긍정심리자본, 스트레스 대처와 심리적 웰빙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315-327.
  • 차배근, 차경옥(2015). 사회과학연구방법: 실증 연구의 원리와 실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 한희승, 이근모(2016). 체육계열학과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과 경력계획 및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5(3), 59-69.
  •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호, 19(1), 161-177.
  • 홍형호, 이윤구, 서광봉(2016). 아웃도어 스포츠 참여자의 여가참여 동기와 여가몰입, 여가만족, 심리적 웰빙의 관계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0(1), 1-14.
  • Chun, S., Lee, Y., Kim, B., & Heo, J. (201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stress-related growth. Leisure Sciences, 34(5), 436-449. [https://doi.org/10.1080/01490400.2012.714704]
  • Comton, W. C. (2005).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 Godin, G., & Shephard, R. J. (1985). A simple method to assess exercise behavior in the community.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10(3), 141-146.
  • Iwasaki, Y., Messina, E. S., & Hopper, T. (2018). The role of leisure in meaning-making and engage ment with lif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3(1), 29-35. [https://doi.org/10.1080/17439760.2017.1374443]
  • Kline, R. B. (2005).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Y: The Guilford Press.
  • Kono, S., Ito, E., & Gui, J. (2020).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ious leisure and meaning in life among Japanese and Euro- Canadians. Leisure Studies, 39 (1), 131-145. [https://doi.org/10.1080/02614367.2018.1555674]
  • Lu, L., & Hu, C. H. (2005). Personality, leisure experiences and happines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6(3), 325-342. [https://doi.org/10.1007/s10902-005-8628-3]
  •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 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 695-706. [https://doi.org/10.1002/job.165]
  • Luthans, F., Avolio, B. J., Avey, J. B.,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 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 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3), 541-572.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83.x]
  • MacCallum, R. C., Widaman, K. F., Zhang, S., & Hong, S. (1999).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4(1), 84. [https://doi.org/10.1037/1082-989X.4.1.84]
  • Porfeli, E. J., & Savickas, M. L. (2012). Career Adapt-Abilities Scale—USA form: Psychometric properties and relation to vocational ident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3), 748–753. [https://doi.org/10.1016/j.jvb.2012.01.009]
  •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1), 141-166.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2.1.141]
  • Safavi, H. P., & Bouzari, M. (2019). The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capital,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competency among hotel frontline employees. Tourism Management Perspectives, 30, 65-74. [https://doi.org/10.1016/j.tmp.2019.02.001]
  • Steger, M. F., Frazier, P., Oishi, S., & Kaler, M. (200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University of Minnesota.
  • Waston, D., Clark, L.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54, 1063-1070. [https://doi.org/10.1037/0022-3514.54.6.1063]
  • Wiese, C. W., Kuykendall, L., & Tay, L. (2018). Get active? A meta- analysis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subjective well- being.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3(1), 57-66. [https://doi.org/10.1080/17439760.2017.1374436]
  • You, S., Shin, K., & Kim, E. (2018).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s and exercise frequency on the body esteem of adolescent girls in Korea.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7, 26-33. [https://doi.org/10.1007/s10826-017-08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