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4, pp.91-103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31 Oct 2019 Revised 12 Dec 2019 Accepted 26 Dec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12.43.4.91

실버 태권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임진선1 ; 김영훈2 ; 최동훈3
1우석대학교
2용인대학교
3우석대학교
Action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Silver Taekwondo Program as Leisure Activity
Lim, Jin Sun1 ; Kim, Young Hoon2 ; Choi, Dong Hoon3
1Woosuk University
2Yongin University
3Woosuk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Kim, Younghoon Youngin University, 134 Cheoin-gu, Yongin-si, Gyeonggi-do, Korea (17092) Tel: 031-8020-3114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thods for developing the Silver-generation Taekwondo program. To achieve this objective, an implementation study was carried out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action research. The subject of the study consisted of 15 people in the early stages and 12 participants in the main stage. One research assistant was initially participated as a participant, but the difference in level and age with other subjects relegated him as a secondary participant. Initially, the Taekwondo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which were assessed based on five categories. Due to logistics issue at the welfare center, however, the program was changed to consist of 16 sessions after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and consultant.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on age and health of the subjects are essential when designing a taekwondo program for the Silver Generation. Second, being a program instructor requires solid training on Taekwondo posture. Third, participating in taekwondo is more than just a category of activity. Fourth, Silver Taekwondo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confidence and health of the subjects.

Keywords:

silver teakwondo, action research, therapeutic recreation, development of taekwondo program

키워드:

실버태권도, 실행연구, 치료레크리에이션, 태권도 프로그램

Acknowledgments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7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7S1A5A8022963).

References

  • 강승애, 김효정, 박현태 외 6명 (2015). 노인체육론. 서울: 대한미디어.
  • 국기원(2010). 태권도 기술용어집. 국기원.
  • 권유찬, 박상갑, 김은희, 박진기, 장재희(2010). 태권도 수련이 비만 아동의 신체구성과 체력 및 혈청 아디포넥틴(adiponectin)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2(2), 239-251.
  • 권유찬, 박상갑, 김은희, 박진기, 장재희, 장철희(2011). 태권도 운동이 대사증후군 고령여성의 신기능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3(2), 273-286.
  • 김봉환, 김형수(2014). 고령노인 태권도수련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코칭능력개발지. 16(4), 47-59.
  • 김영갑(2014). 고령화 사회와 스포츠. 한국체육철학회, 22(2), 55-67.
  • 김영욱, 윤영선(2010). 태권도 수련 노인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및 여가만족의 인과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1), 421-433.
  • 김종동(2013). 노인여성에서 태권도품새와 태권체조가 노화관련호르몬과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1(2), 687-697.
  • 문화체육관광부(2016). 2016 국민생활체육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 박성진, 김준현(2012). 태권도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중심 동요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7(3), 379-385.
  • 배영상(2005). 고령자에게 왜 태권도가 필요한가. 동아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3, 161-162.
  • 변혜숙 이정순 나송숙(2013).노인의 여가활동이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도시노인과 농촌노인 비교. 한국농촌간호학회지, 8(2), 53-63.
  • 신중달(2010). 태권도 품새 수련이 노인 여성의 혈청 콜레스테롤과 hs-CRP 및 NT-proBNP 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히지, 12(2), 253-264.
  • 오세숙, 김종순, 전상우(2016). 여가활동유형별 노인여가정책 연구동향. 여가학연구, 14(1), 63-82.
  • 유성은, 황향희(2013). 실버세대의 리듬운동을 통한 여가복지서비스활성화 방안. 한국리듬운동학회, 6(1), 33-44.
  • 윤진(1983). 발단단계와 의존동기의 변화. 사회심리학연구, 1(2), 204-233.
  • 이철원(2005). 웰빙을 원한다면 여가를 경영하라. 서울; 이치.
  • 이투데이(2017. 3. 9). <생산인구 줄고 사회비용은 늘어⋯저출산·고령화 후유증 시작됐다.> 양창균 기자(2017년 3월 9일).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465320#csidx9313b27d9037bd397e6ec842c5ab6c4, .
  • 조용환(2015).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 조현상(2014). 고령사회의 위험성에 관한 고찰. 기독교사회윤리, 30, 225-252.
  • 최명옥, 조순점(2013). 노인의 여가문화와 삶의 질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10(1), 67-91.
  • 최지숙, 홍진배(2016). 실버태권도 마케팅믹스 요인과 노인의 수련 만족 및 수련 후 행동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6, 593-603.
  • 최한석(2015). 노인스포츠 지도자의 의사소통능력이 참여자의 감정반응과 긍정적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4(2), 41-450.
  • 통계청(2017). 고령노인통계자료. 통계청.
  • 현석주(2012). 태권도 수련이 여성노인의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태권도 연구, 3(1), 27-45.
  •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O’Morrow, G. S., & Reynolds, R. P.(1989). Therapeutic recreation: A helping profession(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Kelly, J. R., & Freysnger, V. J.(2000). 「여가사회학」, 이정환, 고성호, 민수홍, 이미정, 최병목 역, (서울: 도서출판 그린).
  • OECD(2014). 2014년 기대수명 자료. OECD. <2017. 3. 9>
  • Peterson, C.A., & Stumbo, N.J. (2000).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design: Principles and procedures.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 Wilhite, B. C.,& Keller, M. J.(1999). Therapeutic recreation. State college, PA; Venture publishing,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