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Article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 Vol. 43, No. 4, pp.17-34
ISSN: 1598-0413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9
Received 29 Oct 2019 Revised 20 Nov 2019 Accepted 18 Dec 2019
DOI: https://doi.org/10.26446/kjlrp.2019.12.43.4.17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 인식 및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손지영1
1용인대학교
A Study on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f Elderly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s on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silience Relation
Son, Ji-Young1
1Yongin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Son, Ji-Young Yongin University, Yongindaehak-ro 134, Cheoin-gu, Kyeonggi-do, Korea Tel: +82-31-8020-2654, Fax:+82-31-8020-2647, E-mail: sonjiyoung555@hanmail.net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332 elderly people who were aged 65 or over and participated in sports center and senior sports center located in Seoul and Gyunggi-do Area and 8 leisure sports clubs from May to July, 2019 in order to investigate social support,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and resilience relation and ha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it showed that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leisure sports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very sub-factor of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Secondly, it turned out that the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every sub-factor except for the inner peace of resilience. Lastly, it found that the successful ageing recognition significantly impacted every sub-factor except for the tranquility of resilienc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t figured out a greater significance in making sure that the social support for old age was the key factor to raise the successful ageing awareness and resilience. Furthermore, it is desired to increase the successful ageing recognition and resilience through the social support. At the level of welfare for the aged, there should be a try for a range of approaches by developing and supplying aged sports programs and positively encouraging the elderly to take part in physical activities, etc.

Keywords:

The elderly who participate in leisure sports, Social support, Successful aging recognition, Resilience

키워드:

여가스포츠 참여 노인, 사회적 지지, 성공적 노화 인식, 회복 탄력성

References

  • 강종필, 윤지영(2017). 다층모형을 활용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생산적 여가참여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89-98,
  • 강해자(2013).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사회복지지원학회지, 8(1), 1-16.
  • 강혜원(2012).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연구: 사회적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대학원.
  • 곽민서(2016). 투석환자의 극복력과 관련요인.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곽윤길(2010).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댄스스포츠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4(3), 27-42.
  • 구창모(2009). 현대의 고령화 사회에서 스포츠의 역할 및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48(2), 35-45.
  • 권현수(2009).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5), 995-1008.
  • 김경호(2004).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유형과 가족의 건강성, 무력감, 자긍심 및 행복감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김대근, 정진성(2013).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건강,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4, 913-924.
  • 김병훈, 김소연(2019). 여성노인 수영참여자들의 사회적지지와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 의도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1), 1-13.
  • 김보미(2018).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김샛별(2019).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1101-1121.
  • 김재중(2007).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 대학원.
  • 김정희(2013).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김정희, 박지영(2015). 노인의 노화불안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210-222.
  •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5), 209-227.
  • 김형섭(2016).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형태(2011). 그룹홈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탄력성, 그리고 심리·사회적응의 종단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37-164.
  • 김희영, 정봉교(2016).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2(4), 183-204.
  • 노성배, 임효남, 이미향, 김두리(2019). 혈액투석환자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이 환자역할행위 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5), 385-395.
  • 문성연, 이봉근(2018). 체육계열 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가족, 친구, 교수의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461-473.
  • 박비둘(201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 행복감,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 박세정, 김선호(2019).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고혈압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7), 182-191.
  • 박재규(2013). 성인의 운동참여정도가 회복탄력성(Resilience)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박종석(2019). 사별 독거노인의 비애감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학원.
  • 박종철, 안대희(2011). 호텔 직원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 효능감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3(1), 197-215.
  •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방선혜(2016). 노인의 운동 참여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보건복지부, 한국사회복지사협회(2016). 2016년 한국사회복지사기초 통계연감.
  • 사혜지, 이철원, 김민정(2017). 노인들의 여가참여, 성공적 노화, 그리고 사회적지지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6(5), 511-521.
  • 서대석(2018). 사회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0), 575-583.
  • 송기영(2018).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7), 194-206.
  • 송애랑(2000). 여가활동프로그램 중재가 시설노인의 일상생활동작,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송인한, 이한나(2011). 사회경제적 박탈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시민적 낙관의 매개효과. 서울도시연구, 12(3), 33-51.
  • 송지원(2005). 척수장애인의 성 적응과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신영희, 이혜정(2009). 일 도시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9(4), 1327-1340.
  • 안선영(2017). 사회적 지지 및 회복탄력성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 안정신, 강인, 김윤정(2009). 한국 중노년 성인들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지, 13(4), 225-245.
  • 염승문(2006).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가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오은택, 김성주, 윤영구(2012).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사회적지지, 생활만족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2), 179-188.
  • 오창섭, 정원길(2009). 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노화정도에 미치는 영향. 복지행정논총, 19(2), 1-26.
  • 유경근(2015). 노인 여가수행과 사회적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신학대학교 대학원.
  • 윤요숙(2019). 노인체육정책의 인본주의적 지향성과 과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 윤현숙, 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5-31.
  • 이경선(2005).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와 사회적 지지, 고독감 및 사회관계망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 이미자(2012). 중년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 이병찬(2012). 베이비 부머의 성공적 노화인식이 레저스포츠 활성화에 미친 영향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소연(2018). 서울특별시 지역의 노인대학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은석, 안찬우(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9(4), 325-337.
  • 이종석(2018). 생활체육 여부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운동지속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 이지현(2018).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아통합감과의 관계: 회복탄력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지혜(2017).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대학원.
  • 이창일(2015). 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와 경재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대학원.
  • 임은주, 권봉안(2017). 12주간 필라테스 프로그램이 노인의 회복탄력성 및 균형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학회지, 15(2), 579-587.
  • 전현정(2016). 농촌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광주대학교 대학원.
  • 정옥분, 임정하, 정순화, 김경은(2013). 노년기 사회적 자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자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0(1), 79-99.
  • 정은호(2015).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신학대학교 대학원.
  • 진설분(2013). 한국과 대만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에 대한 비교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최미진(2019). 성공적노화 자원으로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과 생활기술.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최성애(2014). 회복탄력성, 서울: 해냄출판사.
  • 태명옥(2019). 노년기 우울과 인구사회특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주관적 기대감의 매개 및 사회활동참여의 조절효과 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 통계청(2018). 2018년 고령자 통계.
  • 홍성희, 곽인숙(2011).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유배우 노인과 무배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77-91.
  • Alden, T. D., Herst, D., Bruck, C. S., & Sutton, M. (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 to 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Psychology, 5, 278-308. [https://doi.org/10.1037/1076-8998.5.2.278]
  • Bowling, A., & Gabriel, Z. (2004). An Integrational Model of Quality of Life in Older Age: Results from the ESRC MRC HSRC Quality of Life Survey in Britain. Social Indicators Reseach, 69, 1-36. [https://doi.org/10.1023/B:SOCI.0000032656.01524.07]
  • Brissette, I., Scheier, M., & Car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s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02-111. [https://doi.org/10.1037/0022-3514.82.1.102]
  • Buunk, B. P., & Hoorens, V. (1992). Social Support and Stress: The Role of Social Comparison and Social-Exchange Process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1, 445-457. [https://doi.org/10.1111/j.2044-8260.1992.tb01018.x]
  • Ciarrochi, J., & Scott, G. (2006). The Link Between Emotional Competence and Well-Being: A Longitudinal Study.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4(2), 231-243. [https://doi.org/10.1080/03069880600583287]
  •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 Diener, E. (2012). New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for Subjective Well-Being Research. American Psychology, 69, 851-864. [https://doi.org/10.1037/0022-3514.69.5.851]
  • Dougall, A. L., Hyman, K. B., Hayward, M. C., Mcfeely, S., & Baum, A. (2001). Optimism and Traumatic Stress: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1, 223-245. [https://doi.org/10.1111/j.1559-1816.2001.tb00195.x]
  • Gallagher, E. N., & Vella-Brodrick, D. A. (2008). Social Support and Emotion Intelligence as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7), 1551-1561. [https://doi.org/10.1016/j.paid.2008.01.011]
  • Golden, J., Conroy, R., Bruce, I., Denihan, A., Greence, E., Kirby, M., & Lawlor, B. (2009). Loneliness, Social Support Networks, Mood and Well-be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694-700. [https://doi.org/10.1002/gps.2181]
  • Harber, K. D., Einev-Cohen, M., & Lang, F. (2007). They Heard a Cry: Psychosocial Resources Moderate Perception of Other’s Distres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8, 296-314. [https://doi.org/10.1002/ejsp.448]
  • Holmen, K., & Furukawa, H. (2002). Loneliness, Health and Social Network Among Elderly People: A Follow up Stud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35, 261-274. [https://doi.org/10.1016/S0167-4943(02)00049-3]
  • Hossseini, S. A., & Besharat, M. A. (2010). Relation of Resilience What Sport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in a Sample of Athlete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 633-638,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7.156]
  • Hughes, E., Kilmerm, G., Li, Y. V., Alluru, B., Brown, J., Colclough, G., Geathers, S., Roberts, H., Elam-Evans, L., & Balluz, L. (201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Surveillance for Certain Health Behaviors Among States and Selected Local Areas-United.
  • Jiang, Y., & Hesser, J. E. (2006). Associations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mographics and Health Risk: Results from Rhode Island’s 2002 Behavioral Risk Factor Survey. Health Qual Life Outcomes, 3(3), 4-14. [https://doi.org/10.1186/1477-7525-4-14]
  • Joseph, D., & Southcott, J. (2019). Meanings of Leisure for Older People: An Austrailan Study of Line Danding, Leisure Studies, 38(1), 74-87. [https://doi.org/10.1080/02614367.2018.1544655]
  • Kruger, L. J., Botman, H. I., & Goodenow, C. (1991). An Investigation of Social Support and Burn out Among Residential Counselors. Child & Youth Care Forum, 20, 335-352. [https://doi.org/10.1007/BF00757062]
  • Kubzansky, L. D., Berkman, L. F., & Seeman, T. E. (2000). Social Conditions and Distress in Elderly Persons: Findings From the MacArthur Study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55(4), 238-246. [https://doi.org/10.1093/geronb/55.4.P238]
  • Leviatan, U. (1999). Contribution of Social Arrangements to the Attainment of Successful Aging-The Experiance of the Islaeli Kibbutz.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4(4), 205-213. [https://doi.org/10.1093/geronb/54B.4.P205]
  • Lewis, J. S., & Harrell, E. B. (2002). Older Adults, In R., R. Greene(Ed), Resiliency: An Integrated Approach to Practies, Policy, and Research. Washington, DC: NASW Press.
  • Mcpherson, B. R. (1994). Sociological Perspectives on Aging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ging and Phycial Activity, 2, 320-358. [https://doi.org/10.1123/japa.2.4.329]
  • Michael, C. E., & Spector, P. E. (1982). Cause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52-59. [https://doi.org/10.1037/0021-9010.67.1.53]
  • Orkibi, H., Ronen, T., & Assoulin, N. (2014).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sraeli Adolescents Attending Specialized School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6(2), 515-526. [https://doi.org/10.1037/a0035428]
  • Parslow, R. A., Lewis, V. J., & Nay, R. (2011). Successful Aging: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Multidimensional Model Using Data From a Large Sample of Older Australia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11), 2077-2083.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1.03665.x]
  • Perice, R., Frone, M., Russell, M., Cooper, M., & Mudar, P. (2000). A Longitudinal Model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lcohol Use. Health Psychology, 19(1), 28-38. [https://doi.org/10.1037/0278-6133.19.1.28]
  • Rice, P. L. (1987). Stress and Health: Principles and Practice for Coping and Wellness. Book/Cole.
  • Rowe, J. W., & Khan, R. L. (1998).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 Seeman, T. E., Lusignolo, T. M., Albert, M., & Berkman, L. (2001). Social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Patterns of Cognitive Aging in Healthy, High-Functioning Older Adult: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Health Psychology, 20(4), 243-255. [https://doi.org/10.1037/0278-6133.20.4.243]
  • Strawbridge, W. J., Wallhagen, M. I., & Cohen, R. D. (2002). Successful Aging and Well-being: Self-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ahn. The Gerontologist, 42(6), 727-733. [https://doi.org/10.1093/geront/42.6.727]
  • Thoits, P. A. (1995).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es: Where are we? What Next?. Journal of Health and Behavior, 36, 53-79. [https://doi.org/10.2307/2626957]
  •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2), 165-178.
  • Wakatm D., & Odom, S. (1982). The Older Womerr Increaced Psychological Benefits from Physical Acctivity.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53(3), 34-45. [https://doi.org/10.1080/07303084.1982.10629346]